이번 2025년 11월 06일 대학생 불법 모니터링단에서 네이버 1784 기업 견학을 가게 되었습니다.
단순한 사옥 투어가 아니라, 디지털 트윈ㆍ로봇 ㆍAI가 결합된 네이버의 미래 기술 전략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약 80분간의 세션 내용을 토대로, 네이버의 로봇 연구, 디지털 트윈, 프라이버시 정책, 조직 구조 등을 정리했습니다.
네이버 1784 — 기술 테스트베드이자 미래 실험실
“로봇과 AI가 공존하는 공간, 네이버 1784.”
네이버 1784는 로봇·AI·디지털 트윈을 융합해 실제 업무와 서비스 전반에 적용하는 실험적 공간입니다.
물류, 식음료, 헬스케어 등 실생활 서비스부터 도시 계획·공간지능까지 — 모든 것이 AI와 현실이 연결된 생태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네이버 로봇 연구와 공간지능
▪ 연구 배경
- 온라인 서비스를 오프라인으로 확장해 온·오프라인 연계 정보 제공을 실현
- 로봇이 직접 물리 공간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서비스 제공
▪ 공간지능 기술 (Spatial Intelligence)
- 디지털 트윈(Digital Twin): 현실 세계를 3D로 정밀 복제
- Naver Twin XR 플랫폼: AI와 결합된 대규모 도시 수준 디지털 트윈
- 활용 예시
- 스마트시티·교통 시뮬레이션
- 고층 빌딩 입주 전 인프라 예측
- 사우디아라비아 3D 도시 매핑 프로젝트
브레인리스 로봇 (Brain-less Robot)
두뇌는 클라우드에, 몸은 경량화에 집중!
- 로봇 내부에 CPU가 아닌 클라우드에서 명령 수행
- 부품 수 감소 → 경량화·유지보수 효율 향상
- 클라우드 업그레이드만으로 전체 로봇 성능 향상 가능
대표 로봇 라인업
| 로봇명 | 특징 | 활용 분야 |
| Mini-Cheetah | MIT 협력 사족보행 로봇 | 고속 이동, 지형 적응 |
| 택배 로봇 | 자동 물류 배송 | 사내 물류 효율화 |
| 도시락 로봇 | 식음료 전용 로봇 | 직원 점심 자동 배달 |
| 루키(Rookie) | 클라우드 연동형 세트 | 자동 업무 할당, 엘리베이터 제어 |
로봇 전용 엘리베이터 (로봇코트)
- 순환형 구조: 상행·하행 분리, 1회 1대 이동
- 제어 시스템: 로봇 스스로 엘리베이터 선택
- 30층 이상 자유 이동 가능 — 완전 자율주행의 핵심 인프라!

스마트 오피스 & 식음료 서비스
- 라운지5(Lounge 5): 직원 전용 공간
- 주문 시스템: PC·모바일·네이버웍스 연동
- 연계 서비스: 택배·도시락·주차·IoT 제어까지 통합
→ 로봇과 IoT가 일상 속으로 자연스럽게 스며든 형태입니다.

AI 연구소 및 협력 네트워크
- 파트너: 서울대·MIT 등 국내외 연구기관
- 인력: 파운데이션 AI 모델 연구 30명, 영상·이미지 AI 60명
- 성과 목표: 연구 결과를 실제 서비스로 연결
- 사례: 얼굴 인식 출입 시스템(0.5초 인식, 마스크 인식 가능)
네이버 헬스케어 솔루션
- 클로바 헬스케어: AI 기반 건강관리 플랫폼
- 스마트 서베이: 증상 입력으로 진료 효율화
- OCR 건강검진 기록 관리: 5년치 데이터 자동 정리 및 분석 제공
개인정보보호·정보보호 체계
▪ 정책 구조 (3단계)
- 정보보호 정책서 – 최고 경영 방침
- 업무별 지침서 – 영역별 세부 규정
- 가이드라인 – 실무 담당자용 구체적 절차
→ 총 125개 규정 중 34개가 개인정보와 직접 관련되어 있습니다.
▪ 주요 관리 시스템
- NPEMS: 서비스별 개인정보 영향평가 관리
- 프라이버시 센터: 이용자 맞춤형 개인정보 이용 현황 제공
- PER 제도: 프라이버시 취약점 제보 보상제 운영
- 투명성 보고서: 2015년 이후 매년 공개
서비스 신뢰 강화 활동
- 프라이버시 TV & SNS: 170여 개 교육 영상
- 외부 감사 및 인증: ISO 27001, APIC CBPR 등 유지
- 정부·기관 협력 및 스타트업 가이드 제공
얼굴인식(페이스사인) 시스템
- 코로나 시기 개발, 마스크 착용 인식 학습 포함
- 선택제 운영: 원치 않으면 출입카드 이용 가능
- 기술 효율보다 법적 권리 보장을 우선시한 사례
개인정보 처리 원칙
| 원칙 | 설명 | 예시 |
| 최소 수집 | 꼭 필요한 정보만 수집 | ID·비밀번호·성별 등 |
| 목적 제한 | 명시된 목적 외 사용 금지 | 통계·보안 목적에 한정 |
| 기간 제한 | 이용 기간 후 자동 삭제 | 개인정보 유효기간 설정 |
| 옵트아웃 | 학습 데이터 사용 거부 가능 | AI 학습 시 사용자 동의 필요 |
글로벌 시장 속의 네이버
전 세계에서 자국 브랜드로 검색 1위를 유지하는 단 4개국 중 하나!
| 국가 | 검색 포털 1위 |
| 미국 | |
| 중국 | Baidu |
| 러시아 | Yandex |
| 대한민국 | Naver |
네이버는 한국어와 자체 브랜드 기반으로 독립적인 검색 생태계를 유지하며
글로벌 확장(중동·동남아·미주·유럽)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
네이버 프라이버시·보안 타임라인
| 연도 | 주요 이정표 |
| 2006 | ISO 27001 인증 획득 |
| 2013 | 통신비밀보호 업무 시작 |
| 2015 | 투명성 보고서 공개 |
| 2022 | APIC CBPR 인증 획득 |
| 2024 | 프라이버시 센터 리뉴얼, 2,900건 영향평가 |
| 2025 | 2,750건 영향평가 및 위치정보 점검 진행 중 |
네이버가 찾는 인재상
- 다양한 전공·배경 환영 (IT, 행정학, 외국어, 영문학 등)
- 정책 + 기술 + 윤리의 융합형 인재
- 실제 직 중에는 경찰관 출신 등도 존재 → 법적 대응 역량 중시



추가로 롯데이노베이션 기업 견학도 갔었는데 기록을 못 했다..